2022년 1월 2일.(일요일)
1. 용연지의 야경을 구경하면서.
다사다난(多事多難)하였던 2021년을 보내고 새로운 2022년을 맞이하면서 아직 나의 집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는 작은아들이 새로운 각오를 다 잡겠다고 하면서 저녁식사를 하자는 제의로 대구 상인동에 있는 한 갈비집으로 들어가 푸짐한 저녁식사의 시간을 가지고, 상인동에서 인접하게 있는 송해공원 내에 있는 '옥연지' 야경 및 낙동강변에 있는 '사문진 나룻터' 야경을 동시에 구경하기로 한다.
나는 송해공원을 몇번 방문한 경험이 있지만 최근 옥연지 내에 야경(夜景)시설을 너무나 잘 조성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듣고 있어 다소 따뜻한 봄이 오면 찾아보겠다는 생각을 가졌지만, 작은아들이 운전하는 승용차를 의존하면서 송해공원으로 먼저 들어간다.
이곳 송해공원은 옥연지를 중심으로 야산과 더불어 주변의 체육시설 까지 폭 넓게 자리하고 있지만 야경시설은 옥연지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있는데, 옥연지 상부 주차장으로 들어가니 다소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람객 차량들이 주차하고 있다.
국민 MC '송해(宋海)' 선생님은 1927년 황해도 재령군 출신이므로 이곳 옥연지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지만 그가 대구에서 군 생활을 할 때 알았던 '석옥이(石玉里)' 이라는 처녀와 결혼을 하였는데, 조강지처(槽糠之妻)가 되는 부인이 이곳 용연지 인근에 있는 옥포읍 기세리 사람이고 그의 부인이 2018년 1월에 돌아가므로 현재 기세리 인근에 있는 야산에 안장되어져 있어 이곳 기세리 일대를 송해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계성고등학교 서울 및 대구 총동창회 합동 산행을 2017년 10월 29일 송해공원 옥연지 아래에 있는 체육공원에서 부터 시작하였는데, 그때 백봉회 회원은 서울 동문들과 함께 옥연지 주변에 있는 야산 따라 산행한 내용을 나의 블로그에 이미 기술하므로 오늘은 탐방기를 생략하고 야경 사진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 끝 -
< '송해공원' 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는 안내문 >
< '용연지' 주변에 있는 송해공원 >
< '송해공원' 주변에 있는 맛집 >
< 송해공원을 알리는 '송해' 조각상 >
< '송해공원' 으로 들어가는 입구 >
< '하트 및 반달' 모양의 조형물 >
< '하이 힐' 의 조형물과 함께 >
< 사랑을 나누는 '청춘남여' 상 >
< 연속적인 '하트' 문양의 조형물 >
< 우리나라에 두번째로 큰 '물레방아' >
< 물에 반영하고 있는 '하트' 조형물 >
< 옥연지 중앙에 있는 '백세정' 으로 들어가는 길 >
< 옥연지 중앙에 만들어져 있는 '백세정' >
< 백세정 2층에서 내려보는 '야경' >
< 불빛 속에 머물고 있는 '기세리' 마을 >
< 저수지 속에 만들어져 있는 '조형물' >
< 물과 대칭으로 반영하고 있는 '오리' >
< 물속에서 솟아오르고 있는 '달' >
< 옥연지 주변으로 만들어져 있는 '둘레길' 가로등 >
< 비슬산 주변에 많이 출토한 '공룡 알' 바위 >
< 날개로 비상하는 '말' 의 조형물 >
< '키다리 아저씨' 조형물 >
'달성군 문화와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자리하고 있는 '달성습지 생태학습관' 을 방문하면서.(2) (0) | 2022.02.23 |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사문진교 아래 '사문진 나룻터' 야경을 즐기면서. (0) | 2022.01.08 |
나의 조상 뿌리가 있는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골 '육신사' 를 재차 방문하여 보면서.(1) (0) | 2021.11.29 |
백봉회 제337봉 산행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있는 '용연사' 앞 비슬산 지맥에 오르면서. (0) | 2020.07.22 |
대구의 앞산이 되어지면서 비슬산의 지맥이 되는 대견봉 꼭지점에 있는 '대견사' 를 방문하며. (2) | 2019.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