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자주 찾아가는 명산 속에 있는 사찰을 방문 할 때, 가람의 배치 방법을 정리하여 본다.
1. 사찰의 기본 배치 방법은
1) 첫째는 일주문.
- 이 일주문은 2개의 기둥으로 만들어 져 있는데, 이것은 오직 일심(一心)으로 불법에 귀의 해야 하겠다는 마음 다진 곳이다.
- 승(僧)과 속(俗), 세간과 출세간, 중생계와 불국토로 나누어 진다.
- 이 문에는 사찰 내 다른 어떠한 문과는 달리 문짝이 없음.
-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 세상의 모든 법이 이 문안으로 들어와 하나가 되는데, 그 하나 되는 법은 어디로 가는가?
2) 둘째는 피안교.
- 대부분 사찰이 있는 곳에 일주문을 통과하며는 크고 작은 냇물이 흐르는 도랑이 있는데, 이 냇물 위의 놓여있는 다리를 피안교라고 하며,
- 피안이란 온갖 번뇌에 휩싸여 생사 윤회하는 마음을 이 곳에서 씻고, 아무런 고통과 근심도 버리고, 오직 불보살의 세계로 들어가는 곳이다.
3) 세째는 금강문(또는 인왕문).
- 이 금강문에는 부처님의 가람과 불법을 수호하는 두분의 금강 장사가 있다.
* 왼쪽의 장사는 밀적금강 장사이고, 오른쪽 장사는 나라연금강 장사라고 함.
* 밀적금강 뒤에 문수동자와 나라연금강 뒤에는 보현동자도 있는 곳도 있음.
4) 네째는 4천왕문(또는 천왕문).
- 이 곳은 불법을 수호하고, 사악한 마군을 방어하는 곳으로 동서남북 4명의 천왕이 있다.
* 동쪽은 보검을 지고 있는 지국천왕,
* 서쪽은 삼지창과 보탑을 들고 있는 광목천왕,
* 남쪽은 용과 여의주를 들고 있는 증장천왕,
* 북쪽은 비파를 켜는 다문천왕이 있다.
5) 다섯째는 불이문(또는 해탈문, 진여문, 자하문, 안양문).
- 불이(不二)는 둘이 아닌 하나라는 뜻.
즉, 승과 속이 하나요, 세간과 출세간도 하나요, 중생계와 불국토도 하나라는 뜻이다.
6) 여섯째는 본당이 보이는 넓은 마당.
- 마당에서는
* 좌측에는 주로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체,(해행당, 수선당, 심검단, 적묵당, 설선당....)
* 우측에는 외부에서 오는 보살님 기거하는 요사체(한자 실력이 짧아 이름을 기역하지 못 함)가 있다.
* 마당 앞쪽 좌.우에는 석탑(또는 목탑)을 두고 있고,
* 그러고, 본당 바로 앞에 석등을 배치한다.
7) 마지막으로 사찰의 중심인 본당.
- 이 본당은 5인 불상과 10인 보살이 배치방법에 의거, 사찰의 형태가 정하여 짐.
* 5명의 불상 :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 아미타여래불, 약사여래불. 노사나불.
* 10명의 보살 : 미륵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일광보살, 월광보살, 약왕보살, 약상보살.
단 : 미륵보살은 현재 도솔천에 머물고 있으며 56억7천만년 후 이 세상에 부처(불)로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고 함.
- 그러므로 "미륵불" 로 칭하는 것은 잘못 된 표현입니다.
예) 대웅전 :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는 문수보살, 우측에는 보현보살을 두는 형태.
대웅보전 :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는 아미타여래불, 우측에는 약사여래불을 두는 형태.
대적광전(대광전) : 중앙에는 비로자나불을 두고, 좌측에는 노사나부처불, 우측에 석가모니불.
* 전주 모악산 금산사의 대적광전은 9분의 부처님(크기도 동일함)을 모신, 매우 큰 사찰 임.
비로전 : 중앙에 비로자나불, 좌측에는 문수보살, 우측에는 보현보살을 모신 형태.
극락보전(무량수전) : 중앙에는 아미타여래불을 두고, 좌측에는 관세음보살, 우측에는 대세지보살.
보광전 : 석가모니 3존불을 모시는 건물.
약사전(유리광전, 만월전) : 중앙에는 약사여래불, 왼쪽에는 일광보살, 오른쪽에는 월광보살을 모신 형태.
기타(관음전, 미륵전, 지장전, 영산전, 나한전. 칠성전....) : 사찰 특색마다 불상 및 보살의 배치 방법을 달리하고 있음.
8) 본당 주위 및 그외 부속물 배치.
- 독성각, 산신각, 삼성각, 장경각 등 사찰 특색에 따라 건물을 배치함. 부처님이나 보살님을 제외한 제자들 등 다양한 신들이나 물건을 두고서 기도 드리는 곳을
"각" 이라고 함.
2. 불상의 종류
1) 자세 : 입상, 좌상, 의상, 교각상, 탄생불, 열반상(와불상), 반가상.
2) 재료 : 동합금, 나무, 돌, 소조(흙), 철
- 우리나라의 사찰에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 불상은 주조하기가 용이한 동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 소조로 만들어진 불상은 흙의 점도 또는 온도, 습도, 곤충에 따른 파손이 발생함으로 제작 및 관리가 무척 난이하여,
* 소조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영주 부석사 아미타여래 좌상이 유명하여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불상의 배치와 위치 및 관리 방법이 매우 독특함.
* 보은 법주사 소조불 좌상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큼. (앉은 키가 5.5m 임)
- 돌로서 만든 불상도, 제작의 난이 및 무게로 인하여 만들기가 어려움.
* 경주 석굴암, 지리산 내원사, 김천 수도암 등의 불상도 국보 또는 보물로 관리하고 있다.
- 나무로 만든 부처는 주로 열반상이 대부분 임.
* 사천시 와룡산에 있는 백천사의 와불은 세계에서 제일 커 부처님 내부로 사람이 서서 들어 갈 정도로 매우 큰 부처임.
- 철은 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기 때문에 제작하기가 무척 어럽고, 파손되며는 보수가 난이함.
* 두타산 삼화사의 철조노사나불이 유명 함.
3. 참고
- 사찰의 규모에 따라 4대 문을 갖출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사찰에는 1-3개의 문을 가지고 있음.
- 상기 내용는 단순히 내가 산을 다니면서 산 속에 있는 사찰을 보고 느낀 것을 기술 한 것이지, 나는 불교 신자도 개별적으로 공부한 것도 아니므로 잘 못된 곳이 있으
면 이해하여 주기 바랍니다. -끝-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집 옥상에서 열대지방의 원산지가 되면서 박과에 속하는 '동아' 라는 열매를 보면서. (0) | 2021.09.10 |
---|---|
대구 북구 매천동에 있는 '대구광역시수산물도매시장' 에서 판매하는 회를 구입하며.(2) (0) | 2021.02.04 |
대구 북구 매천동에 있는 '북대구공판장' 에서 열리고 있는 경매 현장을 돌아보면서.(1) (0) | 2021.01.31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는 이러한 "성형병원" 이 존재하고 있다. (0) | 2009.10.06 |
노후 생활을 위한 "지공증" 활용 방안의 극대화(極大化) 방법을 공개하여 보는데. (0) | 200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