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기계과 행사.(경남) 12

1박2일 동안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제1회 동기 모임은 경남 '통영시' 일원에서 개최.(4)

2022년 9월 26-27일.(1박2일) 2. 둘째날 : 9월 27일(화요일) 3) 욕지도를 방문하면서. 욕지도로 향하는 여객선은 다시 대해(大海)로 나아가 20여 분 정도 달려가면 왼편 바다로 돌출하고 있는 욕지도 외곽 따라 운항하여 오목하게 쏙 들어간 항구로 들어가기 시작하는데, 오른편에도 섬에서 돌출하고 있는 야산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 야산에는 욕지도가 자랑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343호 '모밀잣밤나무' 숲 군락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모밀잣밤나무는 바닷가 산지에 자생하면서 높이 15m 정도에 나무의 밑둥지 ..

1박2일 동안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제1회 동기 모임은 경남 '통영시' 일원에서 개최.(3)

2022년 9월 26-27일.(1박2일) 2. 둘째날 : 9월 27일(화요일) 1) 연화도와 욕지도로 들어가는 배편. 금일 일정은 경남 통영시가 자랑하고 있는 섬 중에서 '연화도(蓮花島) 및 욕지도(欲知島)' 2개의 섬을 탐방하고, 오후에 헤어짐을 가지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본다. 나는 동문 회장과 함께 간편식 아침식사를 하기 위하여, 툥영시의 먹거리 중 하나가 되는 총무김밥을 구입하기 위하여 통영시가지 중심지에 있는 충무김밥 거리로 달려간다. 일인분 6,000원 하는 김밥 15인분을 구입하고 나서. 리조트로 돌아와 일행과 함께 욕지도로 들어가는 선착장으로 달려간다. 현재 통영시에서 욕지도로 들어가는 유람선 선착장으로 통영항 여객선터미널을 비롯하여 삼덕항 및 중화항 등 3곳에서 출발하고 있다. < 떠나기 ..

1박2일 동안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제1회 동기 모임은 경남 '통영시' 일원에서 개최.(2)

2022년 9월 26-27일.(1박2일) 1, 첫째날 : 9월 26일.(월요일) 2) 우제봉 전망대에 오르면서. 바람의 언덕 입구에서 출발한 일행은 한 5분 정도 운전하여 해금강 선착장 입구에 있는 대형 주차장으로 들어가 주차를 시키고 우제봉 전망대로 올라가 보기로 한다. 이곳 해금강 선착장에서는 한국 최고의 섬 정원(庭園)으로 유명한 외도(外島)로 들어가는 선착장과 함께 하고 있는 곳이다. 우리 일행 대부분은 외도를 구경한 경험이 있어 이곳 지형은 잘 알고 있지만 우제봉 전망대는 처음 대면하는 산이 되는데, 우제봉은 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산 2-19번지 내에 자리하고 있다. 반대로 바다의 금강산이라고 불려지는 해금강(海金剛)은 거제 8경 중 하나가 되면서 바위로 이루어져 있는 섬이 되는데, 외도로..

1박2일 동안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1회 동기 모임은 경남 '통영시' 일원에서 개최.(1)

2022년 9월 26-27일.(1박2일) * 여행의 개요.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제1회 동기들은 매년 5월 서울과 대구의 중간지점에 있는 대전지역에서 정기모임 행사를 추진하여 왔다.수년 전 부터 다소 자주 만남을 가지기 위하여 가을철 경인지역과 영남지역으로 나누어 상호 상대 동문을 초청하는 행사를 추진하므로 만남의 횟수를 늘렸다.하지만 최근 코로나 펜데믹(Pandemic)으로 인하여 지역 초정 행사를 무기 연기하여 왔다가 올해 부터 행사를 부활하기로 하는데, 금년에는 영남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동문들이 주관하여 2022년 9월 26일 부터 27일 까지 1박2일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금호통영마리나 리조트에서 개최하기로 한다.서울 및 대전, 포항, 창원 등 각지역에서 거주하는 동문들의 이동 거리를 비롯하여 ..

한국 불교의 3대 성지가 되면서 경남 양산시에 있는 '통도사' 를 다시 방문하여 보면서.(6)

셋째날 : 2020년 10월 17일.(토요일) 1. 통도사의 개요.일찍 잠에서 깨어난 동문들은 호화롭게 만들어진 욕탕으로 들어가 본전을 찾기 위하여 기나긴 온천욕을 즐기고 나서 방의 정리와 더불어 모텔을 떠나기로 한다.3일차 여행에는 한 동문이 경상남도 양신시에 있는 통도사를 꼭 봐야 한다는 강력한 주장으로 약 30분 거리에 있는 통도사 입구에 도착한다.통도사 정문 앞에 있는 대형 주차장에는 국화 전시장을 만들기 위하여 공사를 하고 있어 주차가 불가능하여 승용차를 돌려 통도사 입구 앞에 있는 식당촌으로 들어가 푸짐한 아침식사의 시간을 가지는데, 주인장이 승용차를 식당 앞에 두고 걸어서 통도사 관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하면서 주차를 허락한다.그래서 식당에서 천천히 걸어 통도사 정문으로 들어가 입장권을..

해인사 소리길 중 최고 풍경을 가지고 있는 'SK셀프주유소에서 농산정' 까지 걸으면서.(8)

2. 둘째날 : 8월 22일.(토요일) 5) 해인사 소리길을 걸으면서.일반적으로 해인사 소리길의 전 구간은 가야면사무소 인접지역에 있는 대장경테마파크 앞에서 SK셀프주유소까지 홍류동 계곡 따라 만들어져 있는 트레킹 길이 되는데, 나는 이곳 트레킹 길 따라 몇 번이나 완파하므로 코스의 난이도를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본다.그래서 금일 오전에는 해인사 주변에 있는 암자의 탐방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오후에는 다소 여가를 즐기는 차원에서 소리길 구간 중 역방향이 되는 SK셀프주요소에서 출발하여 농산정까지 약 3Km 정도 내려갔다고 되돌아오는 방식으로 계획하여 본다.이곳 홍류동 계곡 따라 만들어져 있는 가야산 소리길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소개한 '걷기좋은 국립공원 단풍길 25선' 중에서 으뜸의 코스가 되어..

해발 900m 대평원에 자리하고 있는 '고불암' 및 적멸보궁과 함께 '길상암' 에 오르면서.(7)

2. 둘째날 : 8월 22일.(토요일) 4) 해인사 산내 암자를 돌아보면서. (7) 고불암의 탐방.금일 오전 해인사 주변애 있는 암자를 바쁘게 관람을 끝내고 나니 점심식사 시간이 훨씬 지나갔는데, '금강산도 식후경' 이라는 속담과 같이 금강굴에서 다소 가까운 거리에 있는 치인리 식당촌으로 들어가 산채정식으로 점심식사의 시간을 가진다.  그러고 나서 커피를 한잔하기 위하여 카페로 들어가기로 하는데, 좀 분위가 있는 카페로 가기 위하여 평소에 한번 방문하고 싶었던 고불암 입구에 있는 카페가 생각나므로 해인사 경내에서 해발 약 800m 고지대에 있는 마장동 마을로 올라가기로 한다.마장동 마을은 고산에서 더 넓은 평원(平原)을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고냉지 채소를 키우는 밭과 더불어 해인사에서 운영하는 고불암 주조..

해인사 전망대가 되는 '원당암' 및 성철스님 여식 불필스님이 주석하는 '금강굴' 탐방.(6)

2. 둘째날 : 8월 22일.(토요일)4) 해인사 산내 암자를 돌아보면서.(5) 원당암의 탐방.홍제암 주차장을 떠난 일행은 조금 전에 통과하였던 3거리에서 왼편으로 달마선원(達磨禪院) 및 '원당암(願堂庵)' 을 가르키는 이정표 따라 조금 들어가는데, 암자의 입구에서 부터 급경사의 오르막 길로 올라가면 종무소와 함께 하는 넓은 주차장에 도착이 된다.   많은 차량과 함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나서 급경사의 오르막 길 따라 조금 걸어가면 심검당(尋劍堂) 건물이 자리하고 있는데, 신검당 건물 뒤편으로 돌아서 가면 원당암에서 주불은 모시고 있는 '보광전(普光殿)' 건물과 더불어 보광전 앞 보물 제518호가 되는 '점판석 다층탑 및 석등' 이 자리하고 있다. 원당암을 설명하고 있는 안내문에 따르면 원당암은 ..

사명대사가 입적한 '홍제암' 및 민족대표 33인 중 한분 백용성 대종사가 머문 '용탑선원' 탐방.(5)

2. 둘째날 : 8월 22일.(토요일) 4) 해인사 산내 암자를 돌아보면서. (3) 홍제암의 탐방. 희랑대를 떠난 일행은 다시 해인사 앞을 통과하여 해인사 바운다리 왼편에 있는 홍제교를 건너면 2개의 길로 나누어지는데, 왼편의 아래쪽 방향은 원당암 및 달마선원으로 가는 길이고 직전으로 올라가면 홍제암으로 들어가는 길이라는 이정표가 길을 안내하고 있다. 이정표의 지시선 방향 따라 100여 미터 정도 올라가면 홍제암으로 들어가는 삼문을 만나는데, 삼문의 처마에는 보승문(寶勝門) 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으면서 그 옆으로 홍제암을 홍보하는 2개의 설명문이 함께 하고 있다. 홍제암 ..

해인사 산내 16 암자 중 성철스님이 입적한 '백련암' 및 희랑대사가 머문 '희랑대' 탐방.(4)

2. 둘째날 : 8월 22일.(토요일) 4) 해인사 산내 암자를 돌아보면서. (1) 백련암의 탐방.성철스님의 부도탑에서 통제소 방향으로 조금 더 내려가면 백련암과 희랑대를 가르키는 입석이 자리하고 있는데, 입석에서 가르키는 방향으로 약 1Km 정도 매우 급경사의 오르막 길로 올라가면 백련암 주차장에 도착이 된다.   백련암(白蓮菴)은 해인사 바운다리(Boundary) 내에 있는 산내 암자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경내의 주변으로 우거진 노송과 더불어 환적대, 절상대, 용각대, 신선대 등 기암괴석의 바위들이 병풍과 같이 에워싸고 있어 옛 부터 백련암 터가 가야산에서 제일 가는 절승지이라고 한다.백련암이 처음 창건된 년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조선 선조 38년(1605년)에 서산대사의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