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대구박물관. 13

국립 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 '향의 문화사' 전시회를 관람하면서.(2)

2024년 12월 7일.(토요일)​*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을 관람하면서.​4. 향의 문화사 전시회의 관람.(기획 제2전시실) ​기획 제1전시실에서 오른편으로 이동하면 제2전시실로 들어가는 입구가 자리하고 있는데, 제2전시실 입구의 한 벽면에는 국립 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제금동대향로' 의 펼친 그림이 부착되어 있다.​​이어 관람의 동선 따라 전시실 내부로 입실하면 '향으로 이어지는 마음' 이라는 주제로 전시품들이 진열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불교가 융성 함에 따라 의례용으로 많은 향(香)이 필요 하였다.​​전시실 내부에는 한국에서 향나무가 발굴한 지역을 비롯하여 발굴된 향나무를 진열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향나무를 오래 동안 바다에 묻어두면 침향(沈香)..

국립 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 '향의 문화사' 전시회를 관람하면서.(1)

2024년 12월 7일.(토요일)​*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을 관람하면서.​1. 대구박물관의 의의.우리부부는 대구 엑스코에서 '2024 대구 크리스마스 페어' 전시장을 참관하고 나서, 연속적으로 금일(12월 7일) 부터 2025년 3월 3일 까지 국립 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 '향의 문화사' 를 관람하기로 한다. ​​국립 대구박물관(國立 大邱博物館)은 지금으로 부터 30년 전 1994년 12월 7일에 개관하였는데, 대구박물관에서 대구 및 경상북도에서 출토된 문화유산을 보존, 연구, 전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라 하겠다. ​​2006년 10월 19일 박물관 남쪽에 수장고 및 북쪽에 해솔관과 특별전시실을 증축하였고, 이후 지방 국립박물관 전시의 특성화 및 안정적 전시 환경을 확보하고자..

국립 대구박물관에서 고 이건희 회장 기증품 중 대구와 경북 '국보 및 보물' 작품 관람.

2024년 7월 26일.(금요일)​* 고(故) 이건회장의 기증품 중 대구와 경북에 출토된 국보 및 보물 전시품의 관람.대구의 무더위를 자랑하고 있는 '대프리카' 를 피신하기 좋은 장소 중 하나가 시원한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는 전시실을 돌아보는 것도 하나의 피서(避暑) 방법이 되는데, 그래서 금일은 국립 대구박물관을 찾아가 보기로 한다.국립 대구박물관에서는 2024년 7월 9일 부터 2025년 6월 29일 까지 고(故) '이건회' 삼성그룹 회장이 기증한 유물 중 대구와 경북에서 출토된 '국보 및 보물' 특별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다는 것을 방송을 통하여 인지하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일만보(一萬步) 걷기와 함께 국립 대구박물관을 방문하기로 하는데, 오늘 집사람은 개인적 사회봉사 활동으로 인하여 나 혼자 대구..

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는 한국의 신발 '발과신' 전시회 참관하면서.

2024년 5월 17일.(금요일)​* 발과신의 전시회를 참관하면서.오늘도 우리부부는 하루의 걷는 목표 일만보(一萬步)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박물관을 찾아가기로 하는데, 나의 집에서 대구박물관으로 가는 길은 지상철 3호선 황금역에서 내려 대구박물관 까지 걷기로 한다. 국립 대구박물관(國立 大邱博物館) 기획전시실에서는 2024년 5월 14일에서 부터 9월 22일 까지 132일 동안 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특별전으로 한국의 신발 '발과신' 이라는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한다. ​​대구박물관에는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및 특별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는 상설전시실의 문화재를 수시로 관람하면서 나의 블로그에 기술한 경험이 있으므로 관람을 생략하고 바로 기획전시실로 입실하기로 한다. ​​현재 전시하고 있는..

국립 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내 3개의 섹션 중 '복식문화실' 을 3번째 방문하면서.

2024년 1월 10일.(수요일) ​ * 3번째로 복식문화실을 방문하면서. 나는 국립 대구박물관 내 상설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문화재를 몇 번이나 관람하면서 탐방기를 통하여 나의 블로그에 소개하고 있다. 대구박물관 내의 있는 상설전시실에서는 고대문화실, 중세문화실, 복식문화실 등 3개의 섹션(Section)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부부는 2022년 12월 20일 성설전시실 내에 있는 '복식문화실(服飾文化室)' 에 전시하고 있는 문화재를 관람한 경험이 있었다. 대구박물관 측에서 2023년 12월 12일자로 복식문화실에 전시하고 있는 유물 전체를 확 바꾸어 새롭게 단장하였다는 소식을 최근에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관람을 차일피일 미루다가 겨울철 추위도 피하면서 관람의 최적지가 박물관이 되겠다는 생각을..

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는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 을 구경하면서.

2023년 12월 5일.(화요일) ​ *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을 구경하면서. 오늘도 우리부부는 일만보(一萬步) 걷기를 하면서 대구박물관도 구경하기 위하여 대구도시 지상철 3호선을 이용하여 황금역에서 내려 대구박물관 까지 걸어가는데. 나는 대구박물관에서 특별한 전시회를 개최하면 종종 걸어가는 길이다. ​ ​ 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2023년 11월 7일 부터 2024년 2월 12일 까지 100일 동안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 이라는 제목으로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는데, 이번 전시회에서는 경운궁, 대안문, 이광사가 쓴 연려실 현판 등 104건 115점을 전시하고 있다. ​ ​ 박물관 내..

대구박물관에서 개최하고 있는 고 이건희 컬렉션 '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 참석하며.

2023년 4월 22일.(토요일) * 이건희 컬렉션 어느 수집가의 초대전을 참석하면서. 1. 관람의 개요. 나는 국립대구박물관(國立大邱博物館)에서 고(故) '이건희(李健熙)' 삼성그룹 회장의 문화유산 수집품을 무료(無料)로 전시하고 있다는 것을 방송을 통하여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관람객으로 인하여 관람의 효율성(效率性)이 떨어지겠다는 생각으로 방문 시점을 저울질 하다가 오늘 오후 집사람과 함께 구경하여 보기로 한다. 이번 이건희 컬력션 전시회는 대구 및 경북 시민의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어느 수집가의 초대' 이라는 제목으로 2023년 4월 11일 부터 7월 9일 까지 90일 동안 국립대구박물관에서 개최한다고 한다. 우리부부는 하루에 일만보..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내 3개의 전시실 중 '복식문화실' 을 다시 탐방하면서.(5)

2022년 12월 20일.(화요일) * 복식문화실을 다시 탐방하면서.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중 고대문화실 옆에 있는 복식문화실로 입실하여 보는데, 복식문화실(服飾文化室)은 근대 도시로 성장한 대구 지역의 특성을 살려 우리네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옷의 역사를 고대에서 부터 근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마련한 전시실이라 하겠다. 이곳 복식문화실에는 실, 옷감짜기, 색채, 옷이라는 4개의 키워드를 통하여 옷을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직물이 짜여지고 옷이 되는 과정과 우리 전통색을 통하여 옷의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실로 꾸며져 있다. 먼저 전시실 입구에는 의생활의 주요사건을 연표로 기술하고 있고 더 내부로 들어..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내 3개의 전시실 중 '중세문화실' 을 다시 탐방하면서.(4)

2022년 12월 20일.(회요일) * 중세문화실을 다시 탐방하면서.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중 고대문화실 옆에 있는 중세문화실로 입실하여 보는데, 중세문화실(中世文化室)은 대구 및 경북에 산재하고 있는 불교문화(佛敎文化) 및 유교문화(儒敎文化)를 소개하는 전시실로 운영하고 있다. 전시실 입구로 들어가면 먼저 대구 및 경북 지역의 불교문화를 소개하고 있는데, 불교문화는 삼국시대에서 부터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시대양식을 대표하고 조형미가 우수한 불교 조각품과 불교 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다. 삼국(三國) 중 불교 수용이 가장 늦은 신라에서는 7세기에 이르러 수도 경주를 중심으로 불교활동이 성행하였지만, 반대로 불교문..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 내 3개의 전시실 중 '고대문화실' 을 다시 탐방하면서.(3)

2022년 12월 20일.(화요일) * 고대문화실을 다시 탐방하면서. 특별전시실에서 '명기에 예를 담다' 이라는 주제의 전시품을 관람하고 나서 인접하게 있는 상설전시실을 다시 탐방하여 보는데, 대구박물관 상설전시실에는 고대문화실, 중세문화실, 복식문화실 등 3개의 섹션(Section)로 운영하고 있다. 제일 먼저 고대문화실(古代文化室)로 들어가면 입구에서 부터 구석기 및 신석기시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유물에는 경북에서 최초로 발견된 안동 마애리 유적의 주먹도끼에서 부터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제(石製) 농기구와 빗살무늬 토기 등을 전시하고 있다. 한반도의 구석기문화는 북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