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문화와 산행. 16

발해 후손들이 살고 있는 경북 경산시 남천면에 자리하고 있는 '송백마을' 탐방.(6)

2025년 3월 14일.(금요일)​6. 발해 후손들이 살고 있는 송백마을의 탐방.오늘 이목회 회원이 경남 밀양시에 산재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재를 관람한 후 대구로 올라가는 길에 경북 경산시 남천면 '송백마을' 을 탐방하기로 하는데, 송백마을은 '발해(渤海)' 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동네를 관통하고 있는 중앙 도로 따라 조금 올라가면 마을 중심지에 작은 공원이 만들어져 있는데, 공원 중앙에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大祚榮)' 동상과 함께 추모제 건물 및 발해의 역사를 기록한 입석이 자리하고 있다. ​ ​​​​​발해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입석에 따르면 고구려의 유민(遺民)이 되는 대조영이 서기 698년 만주지역에 세운 나라로써, 고구려의 유민과 말갈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수도는 '상경 용천부(上..

경북 경산시 자인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원효대사의 생가에 지어진 '제석사' 의 탐방.

2024년 12월 30일.(월요일)​* 원효대사의 생가가 되는 제석사를 탐방하면서. 평소에도 함께 여행 또는 트레킹을 자주하고 있었던 고등학교 동문 3명과 함께 송년회(送年會)를 개최하기로 하는데, 모임의 장소는 지하철 2호선 신매역에서 12시 30분에 만남을 갖기로 한다. 그러고 나서 신매역 인접하게 있는 한 식당으로 들어가 점심식사 시간을 가지기로 하는데, 방문한 식당이 한 회집으로써 점심식사 특선으로 6.000원 짜리 회덥밥을 제공하므로 풍족한 식사시간을 가진다. 이어 모처럼 만남을 가지므로 트레킹을 즐기기로 하면서 한 동문이 운전하는 승용차에 탑승하여 경북 경산시 자인면에 자리하고 있는 '제석사(帝釋寺)' 를 탐방하기로 하는데, 제석사는 자인면사무소 중심지에 자리하고 있다.​​경내 입구에 자리하고..

경북 경산시 하양읍 사기동 환성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환성사' 를 구경하면서.

2024년 1월 1일.(월요일) ​ * 환성사를 구경하면서.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으면서 동촌을 가로질려 흐르고 있는 금호강변에서 2024년 1월 1일 신년 '해맞이 행사' 에 참석하면서 새해 소원을 빌고, 집으로 돌아와 간단하게 떡국으로 아침식사를 하였다. 그러고 나서 12시 경 대구 북구 원대동에서 거주하고 있는 다수의 6촌 여동생들이 점심식사를 같이 하자는 초대에 따라, 만평로타리 인근에 있는 한 식당에서 신년맞이 덕담과 함께 푸짐한 식사시간을 가졌다. 식사를 끝내고 나서 소화도 시킬 겸 간단하게 운동이나 하자는 의견으로 나의 인솔에 따라 몇일 전(2023년 11월 27일)에 방문하였던 경북 경산시에 있는 불굴사(佛窟寺) 및 홍주암(紅珠菴)을 방문하기로 한다. 내가 불굴사를 선택하는 이유는 6촌 여동..

경산시 남산면 '동의한방촌' 에서 점심식사 및 '한방문화체험관' 에서 족욕 체험.(2)

2023년 12월 1일.(금요일) ​ * 경산 동의한방촌에서 점심식사 및 족욕 체험. ​ ​ 1. 동의한방촌에서의 점심식사. 삼성현역사문화 공원 앞에 있는 자라지(自羅池) 연못 가장자리에 '경산 동의한방촌(慶山 東醫韓方村)' 이 자리하고 있는데, 동의한방촌에는 원형으로 만든 '한방문화체험관(韓方文化體驗館)' 건물과 함께 더 넓은 생태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나는 2023년 5월 7일 고등학교 동문 2명과 함께 삼성현역사문화 공원 주변을 한바퀴 산책을 즐기고 나서 한방문화체험관을 방문하였는데, 체험관 입구 오른편에 자리하고 있고 뷔..

삼성현역사문화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는 '서원의 시간을 걷다' 전시회 관람.(1)

2023년 12월 1일.(금요일) ​ * 여행의 개요, 매년 비정규적 모임을 가지고 있었던 이목회 회원 4명은 2023년 8월 17일 모임을 가지고 나서 오래 만에 다시 모임을 가지도록 하는데, 이번 모임에는 경북 경산시에 자리하고 있는 관광지를 탐방하기로 한다. 아침 10시 정각 대구도시 지하철 2호선 영남대역 앞에서 만남을 가진 일행은 한 회원이 운전하는 승용차를 이용하여 경북 경산시 남산면 인흥리에 자리하고 있는 '삼성현역사문화공원(三聖賢歷史文化公園)' 내에서 걷기로 한다. 나는 이곳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을 2021년 10월 1일 및 2023년 5월 7일 등 2회에 걸쳐 탐방하였는데, 그때 마다 탐방한 내용을 나의 블로그에 세부적으로 기술하여 놓았다. 삼성현역사문화공원에서는 경산에서 배출한 3명의 성현..

경북 경산시 와촌면에 자리하고 있으면서 갓바위를 관장하고 있는 '선본사' 탐방.(2)

2023년 11월 27일.(월요일) ​ 4. 선본사를 탐방하면서. 불굴사 및 홍주암을 돌아보고 나서 집으로 돌아가기에 많은 시간적 여유가 발생하여 불굴사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4거리에서 반대편으로 '갓바위 및 선본사(禪本寺)' 를 가르키는 이정표가 서 있는데, 선본사는 갓바위로 오르기에 최단거리에 자리하고 있는 사찰이다. 4거리에서 계곡 따라 한 10여 분 정도 올라가면 선본사 입구에 있는 주차장에 도착하는데, 선본사 입구 주자장에는 다수의 주차장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주중 오후이라서 그런지 대부분의 주차장이 텅비어 있어 제일 상부에 있는 주차장으로 들어가 주차를 시킨다. 옛날에는 선본사 입구 까지 승용차가 올라갔었지만 현재는 이곳 주차장에서 부터 선본사 까지 경산시내에서 운행하고 있는 803번 시내버스..

경북 경산시 와촌면 무학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불굴사 및 홍주암' 탐방하면서.(1)

2023년 11월 27일.(월요일) ​ * 불굴사 및 홍주암의 탐방. ​ 1. 여행의 개요. 오늘은 모처럼 집사람과 함께 점심식사를 즐기기 위하여 집을 나서 보는데, 식사 장소는 옛날에도 가끔씩 방문하였던 팔공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면서 동화사로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는 대구시 동구 백안동에 있는 '삼거리순두부' 식당을 방문하여 본다. 주중이지만 많은 손님으로 인하여 약간의 기다림을 가지고 나서 순두부찌개로 식사시간을 가지는데, 이어 소화도 겸하면서 팔공산 지맥이 되면서 해발 588.5m 무학산(舞鶴山)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불굴사(佛窟寺) 및 홍주암(紅珠庵)' 을 탐방하기로 한다. 백안삼거리에서 갓바위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면 3거리를 만나면서 왼편으로는 갓바위 앞으로 올라가는 길이고, 직진하면서..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남매지' 의 수변 산책로 트레킹 및 '분수 쇼' 를 즐기면서.

2023년 8월 11일.(금요일) 오늘도 일만보(一萬步) 걷기에 적합한 장소를 찾다가 최근 경북 경산시에 있는 '남매지(男妹池)' 수변 공원 따라 트레킹 코스 및 분수 쇼가 부각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래서 장거리 까지 원정을 가면서 걸어보기로 한다. 우리부부는 트레킹 및 분수 쇼를 동시에 즐기기 위하여 저녁 6시 경 집에서 출발하여 자하철 1호선 및 2호선을 이용하여 임당역에서 내리는데, 인당역 남쪽 방향에 있는 '임당 호반 베르디움' 아파트 앞을 통과하면 이내 남매지 수변 공원에 도착이 된다. 아파트 단지를 지나면 이내 남매지 둑에 올라서는데, 남매지 수변 공원은 총 289.530㎡(약 88.000여 평)의 면적에 수변 산책로와 자전거 도..

경북 경산시 자인면 계정 숲 일원에서 개최하는 '2023 경산 자인 단오제' 의 참석.

2023년 6월 22일.(목요일) 오늘도 고등학교 동문 2명과 함께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慈仁面)에서 개최하는 '2023 경산 자인 단오제' 를 참석하여 보기로 한다. 경산 자인 단오제는 1971년 '한장군(韓將軍) 놀이' 가 중요 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면서 부터 자인 단오-한장군 놀이로 개칭되어 오다가 2007년 3월 '경산 자인 단오제(慶山 慈仁 端午祭)' 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한다. 금년 음력 5월 5일 단옷날이 양력 6월 22일 되므로 '2023 경산 자인 단오제' 를 첫날이 되는 22일(목요일)에서 부터 24일(토요일) 까지 3일간 경산시 자인면사무소 인근에 있는 계정(桂亭) 숲 일원에서 개최하는데, 일행은 첫날 오후 6시 수성구에서 만남을 가지면서 한 동문의 승용차를 이용하여 축제장으..

경북 경산시 남산면 경산 동의한방촌에서 점심식사와 '한방문화체험관' 의 관람.(2)

2023년 5월 7일.(일요일) 2. 경산 동의한방촌의 관람. 삼성현역사문화 공원 앞에 있는 자라지(自羅池) 연못을 한바퀴 돌아서 가면 '경산 동의한방촌(慶山 東醫韓方村)' 을 가르키는 입석을 만나는데, 이곳 입석 앞에는 동의한방촌을 나타내고 있는 조감도와 함께 한약을 짜고 있는 천지인(天地人) 조형물을 만들어놓고 있다. 동의한방촌에는 원형으로 만든 '한방문화체험관(韓方文化體驗館)' 과 더불어 더 넓은 생태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늘 비가오는 날이라서 그런지 아니면 홍보 부족으로 이곳을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지 움직이는 사람이 거의 없다. < 원형으로 만들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