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3-24일.(1박2일)
1. 첫째날 : 6월 23일.(수요일)
5) 충주박물관을 돌아보면서.
중앙탑 인근에 자리하고 있는 '충주박물관(忠州博物館)' 을 돌아보기 위하여 박물관 입구로 들어가 보는데, 이곳 충주박물관은 1986년 11월 25일 충주시민들이 기증한 유물을 모아 성내동에 개관한 유물전시관에서 출발하여 1990년 11월 충주박물관으로 등록하였다.
더불어 중원군에서 1994년 중원향토 민속자료 전시관을 개관하였지만, 1995년 충주시(忠州市)와 중원군(中原郡)이 합병하면서 부터 충주박물관과 중원향토 민속자료 전시관이 상호 통합하여 현재의 시립 충주박물관으로 성장한다.
< '충주박물관' 을 표시하는 입석 >
충주박물관은 8,448㎡(약 2.500평)의 부지에 연건평 2,376㎡(약 720평) 규모로 건립하였는데, 중요 전시 시설물에는 본관이 되는 제1전시관과 더불어 별관이 되는 제2전시관 및 야외전시장으로 나누어진다.
< '충주박물관' 의 전경 >
먼저 본관이 되는 제1전시관으로 들어가면 입구에는 충주의 연표(年表)를 비롯하여 불교 유적을 전시하는 역사1실 및 기증자 유물 코너를 갖추고 기획전시실로도 겸용하고 있는 역사2실로 구획하고 있다.
< 충주박물관 '본관' 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
< '역사1실' 의 전경 >
< 충주지역에 출토한 '유물' >
< 다양한 '토기류' 전시품 >
< '그릇' 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 >
< 1789년도 조선 3대 도시가 되는 '충주' >
< 역사2실에서 개최하는 '기획전시' 제목 >
< '기획전시실' 의 전경 >
이어서 충주지역 민중의 삶과 문화를 테마로 구성된 민속1실 및 경직도, 금상산도를 비롯하여 옛 집안의 살림살이 도구가 전시되어 있는 민속2실로 구성되어 있다.
< '민속전시실' 전경 >
<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구' >
<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생활도구' >
< 현대인이 사용하는 '식재료' >
별관의 건물이 되는 제2전시관은 선사/삼국실, 고려/조선실, 충주항쟁실, 충주명현실로 나뉘어져 있는데, 충주항쟁실에는 임진왜란 때 탄금대 전투를 지휘했던 신립(申砬) 장군 영정과 더불어 한말 무관 권종석(權鍾奭) 장군이 쓰던 관복 및 유품을 전시하고 있다.
< '별관' 으로 들어가는 통로 >
충주명현실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246호로 지정된 이응해장군의 묘 출토복식을 비롯하여 시산노인(詩山老人) 홍가상(洪可相) 영정 등이 전시되어 있다.
< '별관' 의 전경 >
본관 및 별관 건물의 주변으로 야외전시장이 만들어져 있는데, 야외전시장에는 일명 중앙탑이라고 불리는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7층석탑을 비롯하여 율능리 석불입상 등이 전시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전시 유물이 너무나 빈약하여 볼거리가 미미(微微)하다.
< 본관 및 별관 주변에 자리하고 있는 '야외전시장' >
< 야외전시장에서 진열하고 있는 '석조물' >
주마간산(走馬看山) 식으로 박물관을 돌아보고 나서 금일 하루밤으로 유숙(留宿) 할 숙소를 찾아가는데, 숙소는 이곳 충주박물관에서 한 10여 분 거리에 있으면서 국가 보훈처의 국비지원으로 운영하는 보훈휴양원으로 달려간다. - 첫째날 4부 끝 -
'일반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227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대구섬유박물관' 을 돌아보면서.(1) (0) | 2022.08.29 |
---|---|
대구 달서구 상인동 내에 자리하고 있는 '월곡역사공원 및 월곡역사박물관' 의 관람.(2) (0) | 2022.05.03 |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암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의 방문.(5) (0) | 2021.06.03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유적지 내에 있는 '실학박물관' 을 돌아보면서. (0) | 2018.08.19 |
전국 군 단위에서 최초로 개관한 경남 거창군이 보유하고 있는 "거창박물관" 을 돌아보면서. (0) | 201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