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3-24일.(1박2일)
1. 첫째날 : 6월 23일.(수요일)
4) 중앙탑 앞에 있는 식당에서 점심식사.
충주시에는 강원도 평창군 봉평지역과 비슷하게 메밀로 요리하는 막국수가 중요 먹거리 중에 한 음식이 되는데, 중앙탑 주변으로 다수의 메밀막국수 집이 자리하고 있어 그 중에서 제일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는 '메밀마당' 식당으로 들어가 본다,
< 메밀요리로 유명한 '메밀마당' 식당 >
이곳 메밀마당 식당에는 메밀로 만든 음식을 전문적으로 만들고 있에 모두가 '메밀새싹물막국수' 한그릇을 시키기 전 봉평에서 만든 '허생원 메밀꽃술' 막걸리와 메밀 부침개 한접시를 주문하여 보는데, 막걸리가 달싹하면서 입 안에서 오랜 여운이 머무는 술이 되며 이어서 나오는 막국수도 원조의 봉평 막국수와 대등한 맛을 지니고 있는 것 같다.
< 강원도 봉평에서 공급되는 '허생원 메밀꽃술' >
< 막걸리 안주로 주문한 '메밀 부침개' >
< 주문한 '메밀새싹물막국수' >
5) 중앙탑을 돌아보면서.
메밀마당 식당에서 충분하게 식사를 즐기고 나서 식당 바로 앞에 있는 중앙탑 사적공원으로 들어가 보는데, 중앙탑 사적공원은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50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공원으로써 남한강을 옆으로 두고 있는 공원이라 하겠다.
< 남한강변에 자리하고 있는 '중앙탑 사적공원' >
잔디광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강변을 걸어서 상부로 조금 올라가면 잔디광장 중앙지점에 일단의 축대 위로 7층석탑 한기가 서 있는데, 이 탑의 정식 명칭은 '중원탑 탑평리 7층석탑(中原搭 搭坪里 七層石搭)' 이라고 불려진다.
< 사적공원 중앙에 있는 '중원탑 탑평리 7층석탑' >
중앙탑은 국보 제6호로 지정이 되면서 화강암 석재의 탑으로 통일신라시대 석탑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높이가 14.5m가 되는 석탑인데,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하여 다른 이름으로 ‘중앙탑(中央塔)’ 이라고도 불린다.
< 국보 제6호가 되는 '중앙탑' 전경 >
충주 지역은 삼국시대 부터 교통의 요지였던 곳으로 삼국은 모두 이 지역을 전진기지로 중시하여 왔는데, 현재의 위치가 탑의 원위치로서 주변 경작지에서는 가끔 기왓장이 출토되고 또한 석탑 앞에는 석등하대석(石燈下臺石)으로 보이는 8각 연화대석(蓮華臺石)이 남아 있어 이 일대가 신라시대의 절터가 됨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곳 유적지에 대하여 아무런 기록이 없으므로 사찰명(寺刹名)은 알 수 없는데, 중앙탑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설화 가운데 통일 신라시대 원성왕(재위 785∼798)과 관련된 설화는 탑의 건립시기와도 관련이 된다고 한다.
< 사찰은 없어지고 외롭게 서 있는 '중앙탑' >
설화의 내용은 원성왕 때 신라 국토의 중앙지점을 알아보기 위해 국토의 남북 끝지점에서 같은 날 같은 시간에 같은 보폭을 가진 잘 걷는 사람을 정하여 출발시켰더니 항상 이곳에서 만났기에 이곳에 탑을 세우고 중앙임을 표시했다고 한다.
중앙탑면에 있는 지명 중에서 ‘안반내’ 라는 지명이 있는데, 여기서 '반내(半川)' 라고 하는 것은 남북의 끝에서 절반이 되는 내라고 해서 반내라고 했는데, 본래는 한 반내이였으며 이는 한국의 반 즉 중앙을 뜻하는 것이 된다는 뜻이라고 한다.
1916년도 조사에 의하면 기단부의 일부가 파손되어 점차 기울어지고 있었는데, 심할 경우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하여 다음 해에 이 석탑에 대한 전면적인 해체 복원 공사가 진행하면서 해체 도중 탑신부와 기단부에서 유물이 발견되어 현장에서 수습하였다고 한다.
< 탑의 모서리에서 바라보는 '중앙탑' >
탑의 뒤편에 있는 잔디광장 까지 거닐면서 남한강변으로 나아가면 강변 따라 나무테크로 만들어져 있는 무지개 다리가 놓여 있는데, 다리의 가장자리에는 무지개의 색으로 조명시설을 만들어 놓아 야경의 데이트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한다.
< 한반도의 중심을 표시하고 있는 '충주' >
< 남한강 따라 만들어져 있는 '무지개' 다리 >
잘 가꾸어져 있는 잔디광장을 한바퀴 돌아보고 중앙탑 바로 앞에 '충주박물관(忠州博物館)' 이 자리하고 있는데, 박물관을 관람하기 위하여 천천히 걸어서 박물관 입구로 들어가 본다. - 첫째날 3부 끝 -
'문화유산 답사기.(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에 있으면서 노래로 유명한 천등산 '박달재' 에 오르면서.(7) (0) | 2021.07.02 |
---|---|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청계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청룡사지 '보각국사비' 를 찾아서.(6) (0) | 2021.07.01 |
충주 '고구려비 전시관' 구경과 더불어 보훈처에서 운행하는 '보훈휴양원' 에서 숙박.(5) (0) | 2021.06.30 |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관광지 중에서 2번째 방문지는 '세계무술공원' 을 돌아보면서.(2) (0) | 2021.06.27 |
고등학교 동문 3명과 함께 충청북도 지역에 있는 관광지 탐방(첫번째 방문지 : 탄금대).(1)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