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20

경북 김천시 증산면 청암사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무흘구곡 전시관' 을 돌아보면서.(2)

2024년 6월 28일.(금요일)​2. 무흘구곡 전시관을 돌아보면서.청암사 산내 암자가 되는 수도암에서 떠난 우리부부는 급경사의 내리막 도로 따라 한 5분 정도 내려가면 무흘구곡 중 제9곡이 되는 '용추폭포' 를 만나고, 용추폭포에서 부터 다시 10여 분 정도 더 내려가면 청암사로 올라가는 3거리에 도착한다.이곳 3거리 가장자리에 2층으로 건립된 '무흘구곡 전시관(無屹九曲 展示館)' 이 자리하고 있는데, 전시관은 2017년 12월 세워졌다고 하나 우리부부는 전시관 앞으로 수 없이 왕래 하였지만 무심코 지나친 전시관이라 하겠다.​​​내가 이렇게 관심을 두지 않고 지나친 이유는 우리부부는 2012년 6월 13일 무흘구곡을 직접 탐방하면서 나의 블로그에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는데, 그래서 전시관에 무슨 특별한 ..

다시 방문하여 보는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수도암' 의 탐방.(1)

2024년 6월 28일.(금요일)​1. 수도암을 다시 방문하여 보면서.금일 대구가 자랑하는 무더위를 피신하기 위하여 우리부부는 나의 농원이 있는 성주군 용암면으로 내려가기로 하는데, 낮에는 농원에서도 무덥기 때문에 바로 들어가지 않고 성주군이 자랑하는 가야산 언저리로 운전하면서 드라이브를 즐기기로 한다.드라이브 코스로는 성주댐 인근에 자리하고 있는 '할매묵집' 으로 들어가 도토이묵으로 점심식사를 끝내고 나서 계속하여 드리이브롤 즐기는데, 나는 평소에도 가끔씩 방문하는 김천시 증산면에 자리하고 있는 '수도암(修道庵)' 으로 올라가 보기로 한다. 나는 서울에서 거주하고 있는 3명의 대학교 동문과 함께 2020년 8월 21-23일(2박3일) 동안 하기휴가를 가야산 내에 자리하고 있는 '해인사관광호텔' 로 초청..

장생포 고래박물관 내 자리하고 있는 '고래생태체험관' 에서 돌고래 쇼를 관람하며.(5)

2024년 6월 14일.(금요일)​6. 고래생태체험관에서 실시하는 돌고래 쇼를 관람하면서.'951호 울산함' 에서 내려온 일행은 장생포 고래박물관 방향으로 되돌아가면 이내 '고래생태체험관' 건물을 만나는데, 고래생태체험관 입장료는 고래박물관 입장료에 포함이 되므로 입장권 확인으로 입실이 가능하게 한다.​​고래생태체험관은 울산 남구 장생포해양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2009년 11월 연면적 550평(1,834㎡)의 3층 건물로 건축하였는데, 고래와 관련되는 전통문화의 보존 및 해양생태문화체험의 기반조성을 위하여 설립하였다.​​고래생태체험관 1층에는 안내실을 비롯하여 어류 수족관 및 해저터널이 자리하고 있고, 2층에는 4D 영상관, 고래 수족관, 장생포 역사를 설명하고 있는 부스가 자리하고 있으며 3층에..

울산 고래박물관과 함께 하고 있는 대한민국 최초 호위함 '951호 울산함' 의 구경.(4)

2024년 6월 14일.(금요일)​5. 951호 울산함 내부를 구경하면서.장생포 고래박물관에서 탈출한 일행은 고래박물관 주변에 만들어져 있는 조형물을 구경하면서 안쪽으로 들어가면 '고래생태체험관' 및 '951호 울산함' 이 연속적으로 자리하고 있는데, 더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 울산함을 먼저 구경하기로 한다. ​​고래체험관 건물 뒤편으로 돌아가면 부두가에 '951호 울산함' 이 자리하고 있으면서 입구에 울산함 내력을 기술하고 있는데, 울산함은 대한민국 최초의 호위함으로 1975년 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1980년 4월에 진수식을 가졌다.당시에 대형 함정(艦艇) 설계 경험이 없어 몇번이나 시행 착오 끝에 설계와 건조 모두 우리 기술로 완성 하였는데, 2014년 12월에 퇴역할 때 까지 34년 간 조국 해양 수..

울산시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내에 자리하고 있는 '장생포 고래박물관' 을 찾아서.(3)

2024년 6월 14일.(금요일)​3. 고래고기로 점심식사를 즐기면서.대왕암공원에서 출발한 일행은 오전 울산대교 전망대에서 내려 보았던 울산대교를 통과하여 태화강 반대편에 자리하고 있는 장생포(長生浦)로 넘어가는데, 울산대교를 통과하기 위하여 거금의 통행료를 요구하고 있다. 재정이 풍부한 울산시에서 길이가 1.800m 정도가 되는 울산대교를 건너기 위하여 통행료 1.800원을 징수하고 있는데, 문제는 울산대교를 건너는 교통량이 너무나 빈약하여 건설 계획 때 기준 20% 미만으로 떨어져 매우 한적한 대교가 된다.대교를 건너자 마자 이내 장생포구(長生浦口)로 들어가 도로변에 주차를 시키고 나서 3대째 고래고기를 판매한다는 '원조할매집' 식당을 찾아가는데, 식당은 장생포구 중심지에서 너무나 안쪽에 자리하고 있..

울산광역시 동구 대왕암공원 내에 만들어진 '출렁다리 및 대왕암' 을 거닐면서.(2)

2024년 6월 14일.(금요일)​2. 대왕암공원 내에 만들어져 있는 출렁다리를 건너면서.울산대교 전망대에서 10여 분 정도 운전하여 울산시 동구의 명소가 되는 대왕암공원 주차장에 도착하는데, 일행은 고등학교 한 동문의 경주시 감포에 있는 별장에서 단체로 2019년 11월 16-17일.(1박2일) 동안 머문적이 있었다.별장으로 초대한 동문의 안내로 둘째날이 되는 11월 27일 이곳 대왕암공원을 탐방하였는데, 그땐 대왕왐공원 내에 출렁다리가 만들어지지 않아 일반적으로 울기등대 및 대왕암(大王巖) 주변의 풍경을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이곳 대왕암공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과 일산동에 걸쳐 있으면서 총 면적이 약 94만 m²이며 1962년 5월 15일 공원지정시 '울기공원(蔚埼公園)' 으로 불려졌으나,..

고등학교 동문 3명과 함께 울산 여행 중 첫번째 코스 '울산대교 전망대' 의 탐방.(1)

2024년 6월 14일.(금요일)​* 여행의 개요.평소에도 가끔씩 국내 여행을 하였던 고등학교 동문 3명과 함께 모처럼 올산광역시가 자랑하는 명소를 탐방하기 위하여 길을 나서는데, 탐방 일정은 6월 14일 오전 8시 30분 대구 도시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만남을 가지먄서 출발한다. 한 동문이 운전하는 승용차에 탑승하여 울산으로 내려가는데, 대구에서 울산으로 내려가는 여려가지 방법 중 하나가 되는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를 이용하여 부산으로 내려가다가 밀양 JC에서 새롭게 만든 함양-울산 고속도로로 진입한다. 함양-울산 고속도로는 아직 공사 중에 있지만 밀양에서 울산 까지 먼저 개통이 되어 통행이 가능한 고속도로가 되는데, 밀양에서 울산으로 넘어가는 중간지점에 영남 알프스이라고 불려지는 '재약산 및 신불..

대구 남구 맨발대학 제5기 졸업생 '맨발걷기 100일 완수' 에 대한 상장 수여식 참석.

2024년 6월 10일.(월요일)​* 맨발걷기 100일 완수 수여식 찬석 우리부부는 대구시 남구청에서 개최하고 있는 남구 맨발대학 제5기로 금년 2024년 3월 2일에 입학하여 10회 차가 되는 5월 4일에 종료가 되는데, 교육 내용은 매주 토요일 오전 9시에 시작하여 12시 까지 맨발걷기 이론 및 맨발걷기 체험을 하였다.그로 인하여 우리부부는 5월 4일 마지막 날 교육을 이수하므로 영광스럽게 졸업장을 받았는데, 졸업 후 양심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맨발걷기를 추진하는 사람에게 맨발대학에서 100일을 완수한 사람에게 상장을 수여한다고 한다.3월 2일 부터 맨발걷기를 시작하면서 6월 10일이 100일이 되는 날이 되는데, 제5기 졸업생은 3월 2일 부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추진한 사람이 15명이 되므로 15명이..

경북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에서 '감자' 수확을 하기 위한 영농 지원에 참석하면서.

2024년 6월 7일.(금요일)​* 감자 수확을 하기 위한 영농지원에 참석하면서.우리부부는 경북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에서 감자 농사를 짓고 있으면서 대구 남덕교회에서 만난 한 교인(敎人)의 초대로 2024년 5월 24일 농장에서 만찬식을 가졌는데, 그때 감자를 몇일 후 수확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경청하게 된다.그때 함께 초대를 받았던 한 동문부부가 6월 7일 감자를 수확한다고 하면서 함께 영농(營農)지원에 참석하자고 하는데, 사업을 하고 있는 동문은 오전에는 회사에서 일을 하기 때문에 오후 1시 30분 대구시 달성군청 앞에서 만남을 갖자고 한다. 주어진 시간에 달성군청 앞에 도착하니 동문이 한 사업장에 물품을 납품하여야 하기 때문에 집사람 및 동문 부인은 승용차를 이용하여 먼저 농장으로 보내고, 나와 동..

영덕군 장사해수욕장 인근에 자리하고 있는 '장사해돋이 휴게소' 를 재차 방문하며.(3)

2024년 6월 6일.(목요일)​* 동문의 사업장이 되는 장사해돋이 휴게소의 방문.오후 5시 경 포항 영일대해수욕장에서 출발한 일행은 동해의 풍경을 즐기기 위하여 20번 지방도로 따라 영덕군으로 올라가는데, 올라가는 길에는 칠포, 오도리, 이기리, 월포 등 등해에서 아름다운 해수욕장을 지나면서 7번 국도와 합류한다.7번 국도를 이용하여 다시 북쪽으로 한 10여 분 정도 더 올라가면 영덕군에서 유명한 장사해수욕장을 지나자 마자 왼편 야산 기슭에 동문의 사업장이 되는 '장사해돋이 휴게소' 에 오후 6시 10분 경 도착하는데, 나는 2017년 11월 8일에 방문한 휴게소이다. ​ 매우 넓은 휴게소 주차장에 도착하니 주차장 주변으로 암석과 더불어 석조(石造) 조각품이 자리하고 잇는데, 7년 전 대비하여 상전벽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