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상식.

전국 산천에 자리하고 있는 "사찰" 을 방문할 때에는 예절 차원에서 기본은 알고 가자.

용암2000 2009. 10. 4. 19:26

우리가 자주 찾아가는 명산 속에 있는 사찰을 방문 할 때, 가람의 배치 방법을 정리하여 본다. 

 

1. 사찰의 기본 배치 방법은

 

  1) 첫째는 일주문.

      - 이 일주문은 2개의 기둥으로 만들어 져 있는데, 이것은 오직 일심(一心)으로 불법에 귀의 해야 하겠다는 마음 다진 곳이다.

      - 승(僧)과 속(俗), 세간과 출세간, 중생계와 불국토로 나누어 진다.

      - 이 문에는 사찰 내 다른 어떠한 문과는 달리 문짝이 없음.   

      -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 세상의 모든 법이 이 문안으로 들어와 하나가 되는데, 그 하나 되는 법은 어디로 가는가?

 

  2) 둘째는 피안교.

      - 대부분 사찰이 있는 곳에 일주문을 통과하며는 크고 작은 냇물이 흐르는 도랑이 있는데, 이 냇물 위의 놓여있는 다리를 피안교라고 하며,

      - 피안이란 온갖 번뇌에 휩싸여 생사 윤회하는 마음을 이 곳에서 씻고, 아무런 고통과 근심도 버리고, 오직 불보살의 세계로 들어가는 곳이다.

 

  3) 세째는 금강문(또는 인왕문).

      - 이 금강문에는 부처님의 가람과 불법을 수호하는 두분의 금강 장사가 있다.

         * 왼쪽의 장사는 밀적금강 장사이고, 오른쪽 장사는 나라연금강 장사라고 함.

         * 밀적금강 뒤에 문수동자와 나라연금강 뒤에는 보현동자도 있는 곳도 있음.

 

  4) 네째는 4천왕문(또는 천왕문).

      - 이 곳은 불법을 수호하고, 사악한 마군을 방어하는 곳으로 동서남북 4명의 천왕이 있다.

         * 동쪽은 보검을 지고 있는 지국천왕,

         * 서쪽은 삼지창과 보탑을 들고 있는 광목천왕,

         * 남쪽은 용과 여의주를 들고 있는 증장천왕,

         * 북쪽은 비파를 켜는 다문천왕이 있다.

 

  5) 다섯째는 불이문(또는 해탈문, 진여문, 자하문, 안양문).  

       - 불이(不二)는 둘이 아닌 하나라는 뜻.

          즉, 승과 속이 하나요, 세간과 출세간도 하나요, 중생계와 불국토도 하나라는 뜻이다.

 

  6) 여섯째는 본당이 보이는 넓은 마당.

      - 마당에서는 

         * 좌측에는 주로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체,(해행당, 수선당, 심검단, 적묵당, 설선당....)

         * 우측에는 외부에서 오는 보살님 기거하는 요사체(한자 실력이 짧아 이름을 기역하지 못 함)가 있다.

         * 마당 앞쪽 좌.우에는 석탑(또는 목탑)을 두고 있고,

         * 그러고, 본당 바로 앞에 석등을 배치한다.

 

  7) 마지막으로 사찰의 중심인 본당.

       - 이 본당은 5인 불상과 10인 보살이 배치방법에 의거, 사찰의 형태가 정하여 짐.

         * 5명의 불상 :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 아미타여래불, 약사여래불. 노사나불.

         * 10명의 보살 : 미륵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일광보살, 월광보살, 약왕보살, 약상보살.  

             단 : 미륵보살은 현재 도솔천에 머물고 있으며 56억7천만년 후 이 세상에 부처(불)로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고 함.

                   - 그러므로 "미륵불" 로 칭하는 것은 잘못 된 표현입니다.

       

       예) 대웅전 :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는 문수보살, 우측에는 보현보살을 두는 형태.

            대웅보전 :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는 아미타여래불, 우측에는 약사여래불을 두는 형태.

            대적광전(대광전) : 중앙에는 비로자나불을 두고, 좌측에는 노사나부처불, 우측에 석가모니불.

               * 전주 모악산 금산사의 대적광전은 9분의 부처님(크기도 동일함)을 모신, 매우 큰 사찰 임.

            비로전 : 중앙에 비로자나불, 좌측에는 문수보살, 우측에는 보현보살을 모신 형태.

            극락보전(무량수전) : 중앙에는 아미타여래불을 두고, 좌측에는 관세음보살, 우측에는 대세지보살.

            보광전 : 석가모니 3존불을 모시는 건물.

            약사전(유리광전, 만월전) : 중앙에는 약사여래불, 왼쪽에는 일광보살, 오른쪽에는 월광보살을 모신 형태.

            기타(관음전, 미륵전, 지장전, 영산전, 나한전. 칠성전....) : 사찰 특색마다 불상 및 보살의 배치 방법을 달리하고 있음.

 

  8) 본당 주위 및 그외 부속물 배치.

      - 독성각, 산신각, 삼성각, 장경각 등 사찰 특색에 따라 건물을 배치함. 부처님이나 보살님을 제외한 제자들 등 다양한 신들이나 물건을 두고서 기도 드리는 곳을  

        "각" 이라고 함.

 

2.  불상의 종류

 

  1) 자세 : 입상, 좌상, 의상, 교각상, 탄생불, 열반상(와불상), 반가상.

 

  2) 재료 : 동합금, 나무, 돌, 소조(흙), 철     

      - 우리나라의 사찰에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 불상은 주조하기가 용이한 동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 소조로 만들어진 불상은 흙의 점도 또는 온도, 습도, 곤충에 따른 파손이 발생함으로 제작 및 관리가 무척 난이하여,

         * 소조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영주 부석사 아미타여래 좌상이 유명하여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불상의 배치와 위치 및 관리 방법이 매우 독특함.

         * 보은 법주사 소조불 좌상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큼. (앉은 키가 5.5m 임)

      - 돌로서 만든 불상도, 제작의 난이 및 무게로 인하여 만들기가 어려움.

         * 경주 석굴암, 지리산 내원사, 김천 수도암 등의 불상도 국보 또는 보물로 관리하고 있다.        

      - 나무로 만든 부처는 주로 열반상이 대부분 임.

         * 사천시 와룡산에 있는 백천사의 와불은 세계에서 제일 커 부처님 내부로 사람이 서서 들어 갈 정도로 매우 큰 부처임.

      - 철은 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기 때문에 제작하기가 무척 어럽고, 파손되며는 보수가 난이함.

         * 두타산 삼화사의 철조노사나불이 유명 함.  

 

3. 참고

    - 사찰의 규모에 따라 4대 문을 갖출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사찰에는 1-3개의 문을 가지고 있음.

    - 상기 내용는 단순히 내가 산을 다니면서 산 속에 있는 사찰을 보고 느낀 것을 기술 한 것이지, 나는 불교 신자도 개별적으로 공부한 것도 아니므로 잘 못된 곳이 있으

       면 이해하여 주기 바랍니다. -끝-